當前位置

首頁 > 語言學習 > 韓語學習 > 【4.20】【有聲】不要再使用這些傷害殘障人士的表達了!

【4.20】【有聲】不要再使用這些傷害殘障人士的表達了!

推薦人: 來源: 閱讀: 3.22K 次

부지불식간에 사용하는 속담이나 관용구에 장애인을 비하하는 표현이 들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4.20】【有聲】不要再使用這些傷害殘障人士的表達了!

很多我們不經意間使用的俗語或慣用語卻帶有貶低殘疾人的含義。

국가인권위원회도 이러한 점을 지적한 적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꿀 먹은 벙어리’와 ‘장님 코끼리 만지기’다. 인권위는 ‘꿀 먹은 벙어리’는 문맥과 상황에 따라 ‘말문이 막힌’ ‘말을 못하는’ 등으로, ‘장님 코끼리 만지기’는 ‘일부만 알면서 전체를 알듯이’ ‘주먹구구식’ 등으로 바꾸어 쓸 것을 권하고 있다.

韓國國家人權委員會也曾指出過這一點,最代表性的例子就是“啞巴吃黃連”和“盲人摸象”。人權委建議,“啞巴吃黃連”應改爲“啞口無言(말문이 막힌)”、“말을 못하는(不會說話)”,而“盲人摸象”應該改爲“只知其一不知其二(일부만 알면서 전체를 알듯이)”、“囫圇吞棗(주먹구구식)”。

이러한 관용구에는 ‘눈먼 돈’과 ‘외눈박이 ○○’도 있다. ‘눈먼 돈’은 임자 없는 돈이나 우연히 생긴 공돈을 뜻한다. ‘외눈박이 ○○’은 한쪽으로 기울거나 편파적인 경우에 사용되는 말이다.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는 상황에 따라 ‘눈먼 돈’은 ‘주인 없는 돈’, ‘외눈박이 ○○’는 ‘편파 ○○’ 등으로 바꾸어 쓸 것을 제안하고 있다. ‘장애를 앓고 있다’는 표현 또한 장애를 질병이나 결함으로 여기는 것이기 때문에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식으로 바꾸어 쓸 것을 권하고 있다.

類似的慣用句還有“眼瞎錢”和“獨眼○○”。“眼瞎錢”指無主財產或偶然白得的錢,“獨眼○○”指偏向、袒護某方。殘疾人首先實踐運動本部提議,將“眼瞎錢”換成“沒有主人的錢”,“獨眼○○”改爲“偏袒○○”。“患有殘疾(장애를 앓고 있다)”的表達也有將殘疾視作疾病或缺陷的意思,因此建議改爲“帶有殘疾”。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역시 ‘눈 뜬 장님’ ‘벙어리 냉가슴 앓듯’ ‘귀머거리 삼년’ ‘절름발이 정책’ 등 ‘장님, 벙어리, 귀머거리, 절름발이’ 등이 들어간 속담이나 관용구는 장애인을 차별하는 표현이라며 사용을 자제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韓國文化藝術委員會也建議儘量不要使用帶有“盲人”、“啞巴”、“聾子”、“跛腳”等貶損稱謂的俗語或慣用句,比如“睜眼瞎”、“啞巴吃黃連”、“聾三年”、“跛腳政策”等。

今日詞彙:

부지불식간【名詞】不知不覺間

비하하다【自動詞】貶低,鄙視

벙어리【名詞】啞巴

눈멀다【自動詞】瞎眼 ,眼瞎

공돈【名詞】白得的錢 ,白給的錢

편파적【名詞】偏頗的 ,不公正的

장님【名詞】盲人 ,瞎子

냉가슴【名詞】暗自心傷 ,內心焦慮

귀머거리【名詞】聾子 ,耳聾的人

절름발이【名詞】瘸子,跛腳

주문하다【他動詞】囑託,要求

句型語法:

-에 따라

表示以某一事實或立場爲根據。相當與漢語‘根據’、‘按照’。

기분에 따라 마음대로 하면 안 됩니다.

不能隨心所欲的做。

학생의 능력에 따라 가르치는 게 좋아요.

根據學生能力進行教導比較好。

경우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我覺得應該隨機應變。

相關閱讀:

【有聲】韓國新聞:外國人健康保險新政策

【有聲】韓劇臺詞:《黑暗榮耀》經典臺詞(下)

【有聲】韓劇臺詞:《黑暗榮耀》經典臺詞(上)

翻譯爲本站韓語原創,禁止轉載